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보헤미안 랩소디] "이거 실화...?" 영화 속과 다른 실제 사실들

Movie and Book

by 스마트톡 메타뮤직 2020. 5. 22. 00:55

본문

반응형

(C) 20th Century Fox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는 퀸의 맴버인 브라이언 메이와 로저 테일러가 제작 과정에 참여했을만큼 그들의 실제 이야기를 보여주기 위하여 상당히 공을 들인 영화입니다. 다만 극적인 요소를 영화에서는 포기하기 힘들고, 너무 루즈해지면 안되기 때문에 양념(?)을 뿌린 요소가 은근 많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영화 속과 다른 실제 사실들을 알아볼까 합니다.

 

 

 

 

 

 

 

스포일러 주의

본 포스팅은 영화 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1. 메리 오스틴은 브라이언의 여자였다.

영화에서 메리 오스틴은 첫 만남부터 프레디의 여자로 등장합니다. 하지만 원래 메리는 브라이언의 여자친구였다고 합니다. 그리 깊은 관계는 아니고, 자주 어울리고 데이트를 하곤 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어느날 프레디가 브라이언에게 "(메리랑) 사귀고 있냐? 메리랑 데이트 해도 상관없지?"라고 물었고, 당시 메리와 연인관계가 아닌 좋은 친구사이였던 브라이언은 프레디가 그녀와 사귀는 것에 불만을 가지지 않았다고 하네요. 또한 인터뷰에서 메리가 회상하기를, 프레디가 그녀에게 데이트를 신청하기까지 6개월이나 걸렸다고 합니다.

그 이외에 메리는 영화에서처럼 실제로 비바에서 종업원으로 일을 했으며, 나중에는 프레디가 그녀를 비서 자리를 내어주면서 (영화에서와는 달리) 퀸의 월드 투어에 자주 따라다녔다고 전해집니다. 영화에서처럼 메리와 프레디는 헤어진 이후에도 영원히 좋은 친구로 남아있었으며, 영화에서는 프레디가 그녀가 사는 집 근처로 이사를 간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메리가 프레디와 동거하다가 나오면서 근처의 집을 얻었다고 합니디.

 

 

2. 프레디의 에이즈 감염

영화에서는 프레디가 라이브 에이드가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등, 85년도에 에이즈 확정 판정을 받은것으로 묘사되어집니다. 하지만 프레디가 에이즈에 감영된 것을 처음 안 시기는 87년도라고 합니다. 그 전에도 비슷한 증상을 겪긴 했지만, 85년도와 86년도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다가 87년도애 양성 판정을 받은 것이지요. 또한 영화에서와는 달리 그가 에이즈 감염 사실을 제일 먼저 알린 사람은 퀸의 맴버들이 아닌 그의 유일하고 진정한 친구, 메리 오스틴이였다고 합니다. 퀸의 맴버들은 89년도에 처음 알게 되었으며, 그의 바램에 따라 메리와 맴버들 모두 그가 대중에게 공개하기 전까지 그의 에이즈 감염 사실을 대중에게 알리지 않았습니다.

 

 

3. 짐 허튼과의 만남

프레디는 잘 알려진 양성애자 중 한명입니다. 85년도 이후 파트너인 짐 허튼의 관한 묘사가 영화에도 등장하는데요. 짐은 영화에서 프레디의 저택 집사로 묘사됩니다. 사실은 짐은 헤어 디자이너였으며, 프레디와의 첫만남은 한 게이바에서였습니다. 다만, 당시 짐은 남자친구가 있었기 때문에 프레디의 대쉬를 정중히 거절합니다. 또한 짐은 대쉬한 사람이 퀸의 프레디 머큐리라는 사실또한 몰랐다고 전해집니다. 그들의 두번째 만남은 85년도 다른 게이바에서 우연히 이루어집니다. 짐은 남자친구와 헤어진 뒤였기 때문에 프레디를 파트너로 받아드렸고, 프레디가 그의 새로운 파트너를 메리에게 가장 먼저 소개시켰다고 합니다. 영화에서처럼 짐의 인생 첫번째 콘서트는 라이브 에이드였다고 합니다.

 

 

 

참고문헌 (References)
Wikipedia English : Bohemian Rhapsody (film)
IMDb : Mary Austin Biography


본 게시글의 저작권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 별도 명시가 없는 경우, 본문 텍스트 내용은 CC BY-NC-ND 4.0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공유 가능, 상업적 아용 금지, 저작자 명시, 변형 금지,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Text is available under the CC BY-NC-ND 4.0; additional terms may apply.

 

반응형

댓글 영역